맨위로가기

1942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42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제2차 세계 대전,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의 장기 집권, 경제 문제 등의 배경 속에서 치러졌다. 민주당은 13,181,759표(47%)를 득표하여 222석을, 공화당은 14,230,703표(50.7%)를 득표하여 209석을 차지했다. 공화당이 득표율에서 앞섰지만, 의석수에서는 민주당이 다수를 유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2년 미국 - 미드웨이 해전
    미드웨이 해전은 1942년 6월 4일부터 7일까지 미드웨이 환초에서 벌어진 태평양 전쟁의 결정적인 해전으로 미국의 승리로 끝났으며, 일본의 MI 작전은 미국의 암호 해독, 일본군의 실책, 미군의 반격으로 실패하여 태평양 전쟁의 전황을 역전시키는 전환점이 되었다.
  • 1942년 미국 - 제14회 아카데미상
    제14회 아카데미상은 1942년 2월 26일 로스앤젤레스에서 개최되었으며, 《나의 계곡은 푸르렀다》가 작품상, 존 포드가 감독상, 게리 쿠퍼와 조앤 폰테인이 각각 남우주연상과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 미국의 하원의원 선거 - 185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1850년-1851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민주당이 127석으로 가장 많은 의석을 확보했으며, 휘그당, 입헌통일당, 자유토지당, 주권당, 무소속 의원들이 선출되었다.
  • 미국의 하원의원 선거 - 184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184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위스콘신 준주의 주 승격으로 하원 의석이 증가한 첫 선거로, 휘그당이 근소하게 승리했으며, 텍사스와 아이오와 주의 신설로 의석이 증가하는 등 의회의 정치적 역학 관계에 변화를 가져왔다.
1942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선거 개요
선거 이름1942년 미국 하원 의원 선거
국가미국
국기 게양 연도1912년
선거 유형의회 의원 선거
진행 여부아니오
이전 선거1940년 미국 하원 의원 선거
이전 선거 연도1940년
다음 선거1944년 미국 하원 의원 선거
다음 선거 연도1944년
선출 의석 수미국 미국 하원의 모든 435석
과반 의석 수218석
선거 날짜1942년 11월 3일
추가 정보메인주는 1942년 9월 14일에 선거를 실시했음.
1942년 미국 하원 의원 선거 지도
1942년 미국 하원 의원 선거 지도
주요 정당 및 지도자
정당 1미국 민주당
지도자 1샘 레이번
지도자 임기 시작1940년 9월 16일
지난 선거 의석수 1267석
현재 의석수 1222석
의석수 변동 145석
득표수 113,181,759표
득표율 147.0%
득표율 변동 14.4%
정당 2미국 공화당
지도자 2조셉 마틴
지도자 임기 시작1939년 1월 3일
지난 선거 의석수 2162석
현재 의석수 2209석
의석수 변동 247석
득표수 214,271,483표
득표율 250.8%
득표율 변동 25.2%
정당 4위스콘신 진보당
지난 선거 의석수 43석
현재 의석수 42석
의석수 변동 41석
득표수 4185,114표
득표율 40.7%
득표율 변동 40.3%
정당 5농민-노동자당
지난 선거 의석수 51석
현재 의석수 51석
득표수 5151,684표
득표율 50.5%
득표율 변동 50.1%
정당 7미국 노동당
지난 선거 의석수 71석
현재 의석수 71석
득표수 791,283표
득표율 70.3%
득표율 변동 70.4%
정당 8무소속 (미국)
지난 선거 의석수 80석
현재 의석수 80석
의석수 변동 81석
득표수 867,333표
득표율 80.2%
하원 의장
선거 전 의장샘 레이번
선거 전 정당미국 민주당
선거 후 의장샘 레이번
선거 후 정당미국 민주당

2. 선거 배경

1942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몇 가지 주목할 만한 배경 속에서 치러졌다. 일리노이주에서는 하원 의원 수가 27명에서 26명으로 재분배되었으며, 이에 따라 기존 2명의 전원 선출 의원(at-large representatives)이 1명으로 변경되었다.

2. 1. 제2차 세계 대전

1942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제2차 세계 대전의 영향 아래 치러졌다.

2. 2. 루스벨트 대통령의 장기 집권

1942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의 장기 집권 기간에 치러졌다.

앨라배마주에서는 민주당이 하원 의원 9석을 모두 유지했다. 9개 선거구 모두에서 현직 의원들이 재선되었으며, 8개 선거구에서는 무투표 당선이었다. 9번 선거구에서는 존 P. 뉴섬이 95.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고, 공화당 후보는 4.1%, 공산당 후보는 0.3%를 얻었다.

앨라배마주 하원의원 선거 결과
선거구현직 의원정당첫 당선결과후보
1프랭크 W. 보킨민주당1935년 (보궐)재선프랭크 W. 보킨 (민주당) 무투표
2조지 M. 그랜트민주당1938년재선조지 M. 그랜트 (민주당) 무투표
3헨리 B. 스티걸민주당1914년재선헨리 B. 스티걸 (민주당) 무투표
4샘 홉스민주당1934년재선샘 홉스 (민주당) 무투표
5조 스타네스민주당1934년재선조 스타네스 (민주당) 무투표
6피트 자만민주당1936년재선피트 자만 (민주당) 무투표
7카터 마나스코민주당1941년 (보궐)재선카터 마나스코 (민주당) 무투표
8존 스파크먼민주당1936년재선존 스파크먼 (민주당) 무투표
9루터 패트릭민주당1936년재선 실패존 P. 뉴섬 (민주당) 95.6%, C. R. 홀리먼 (공화당) 4.1%, 롭 F. 홀 (공산당) 0.3%



애리조나주는 선거구 재분배로 하원 의원 의석이 1석에서 2석으로 늘어났다. 두 의석 모두 민주당이 차지했다. 존 R. 머독은 1936년부터 애리조나주 하원의원으로 재직해 왔으며, 이번 선거에서 36.3%의 득표율로 재선되었다. 새롭게 추가된 의석에서는 리처드 F. 하를레스가 36.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공화당 후보들은 각각 15.0%와 11.8%를, 공산당 후보는 0.2%를 얻었다.

애리조나주 하원의원 선거 결과
선거구현직 의원정당최초 당선결과후보
전체 선거구 | 존 R. 머독민주당1936년재선
없음 (새로운 선거구)민주당 획득
후보: 리처드 F. 하를레스 (민주당) 36.6%, 존 R. 머독 (민주당) 36.3%, 조지 R. 다넬 (공화당) 15.0%, 조셉 S. 젱크스 주니어 (공화당) 11.8%, 모리스 그레이엄 (공산당) 0.2%


2. 3. 경제 문제

주어진 원본 자료에는 1942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의 '경제 문제'와 관련된 내용이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는 선거 결과와 관련된 경제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담을 수 없다. 제공된 자료는 앨라배마주와 아칸소주의 하원의원 선거 결과를 정리한 표이며, 여기에는 후보자들의 이름, 정당, 당선 여부 등이 포함되어 있을 뿐, 경제 정책이나 당시 경제 상황에 대한 언급은 없다.

3. 주요 정당 및 후보

(공화당 획득)J. 르로이 존슨(공화당) 54.5%캘리포니아 4토마스 롤프공화당1940년재선토마스 롤프(공화당) 98.3%캘리포니아 5리처드 J. 웰치공화당1926년재선리처드 J. 웰치(공화당) 92.7%캘리포니아 6앨버트 E. 카터공화당1924년재선앨버트 E. 카터(공화당) 92.6%캘리포니아 7존 H. 톨란민주당1934년재선존 H. 톨란(민주당)캘리포니아 8잭 Z. 앤더슨공화당1938년재선잭 Z. 앤더슨(공화당) 99.9%캘리포니아 9버트런드 W. 기어하트공화당1934년재선버트런드 W. 기어하트(공화당)캘리포니아 10알프레드 J. 엘리엇민주당1937년재선알프레드 J. 엘리엇(민주당)캘리포니아 11없음 (새로운 선거구)민주당 획득조지 E. 아웃랜드(민주당) 50.7%캘리포니아 12제리 보어히스민주당1936년재선제리 보어히스(민주당) 56.8%캘리포니아 13찰스 크레이머민주당1932년재선 실패
(공화당 획득)노리스 폴슨(공화당) 49.5%캘리포니아 14토마스 F. 포드민주당1932년재선토마스 F. 포드(민주당) 67.0%캘리포니아 15존 M. 코스텔로민주당1934년재선존 M. 코스텔로(민주당) 86.2%캘리포니아 16릴랜드 M. 포드공화당1938년재선 실패
(민주당 획득)윌 로저스 주니어(민주당) 53.7%캘리포니아 17세실 R. 킹민주당1942년재선세실 R. 킹(민주당)캘리포니아 18윌리엄 워드 존슨공화당1940년재선윌리엄 워드 존슨(공화당) 56.8%캘리포니아 19없음 (새로운 선거구)민주당 획득체트 홀리필드(민주당) 63.1%캘리포니아 20존 칼 힌쇼공화당1938년재선존 칼 힌쇼(공화당) 48.4%캘리포니아 21해리 R. 셰퍼드민주당1936년재선해리 R. 셰퍼드(민주당) 96.6%캘리포니아 22없음 (새로운 선거구)공화당 획득존 J. 필립스(공화당) 57.6%캘리포니아 23에두아르 이자크민주당1936년재선에두아르 이자크(민주당) 50.5%



콜로라도, 코네티컷, 델라웨어 주에서도 하원의원 선거가 치러졌다.

3. 1. 민주당

정당의석수
민주당222석
공화당209석
위스콘신 진보당2석
미국노동당1석
농민노동당1석
합계435석



정당득표수득표율
공화당14,230,70350.7%
민주당13,181,75947%
위스콘신 진보당185,1140.7%
미네소타 농민노동당151,6840.5%
미국노동당91,2830.3%
기타233,8210.8%
총합28,074,364100%


3. 2. 공화당

정당의석수득표수득표율
공화당209석14,230,70350.7%



1942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공화당은 209석을 확보했고, 14,230,703표를 얻어 50.7%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3. 3. 기타 정당

정당의석수
위스콘신 진보당2석
미국노동당1석
농민노동당1석


4. 선거 결과

1942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결과, 민주당은 222석, 공화당은 209석을 차지했다. 진보당은 2석, 농민-노동당과 미국 노동당은 각각 1석을 얻었다.

플로리다주에서는 재분배로 인해 6번째 의석이 추가되었고, 기존 5개 선거구는 재조정되었다. 새로 추가된 광역 선거구에서는 로버트 A. 그린이 당선되었다.

선거구하원 의원정당최초 당선결과후보
제1선거구J. 하딘 피터슨민주당1932년재선J. 하딘 피터슨 (민주당)
제2선거구로버트 A. 그린민주당1932년광역 선거구에 출마,
민주당 유지
에모리 H. 프라이스 (민주당)
제3선거구밥 시크스민주당1940년재선밥 시크스 (민주당)
제4선거구팻 캐논민주당1938년재선.팻 캐논 (민주당) 81.4%
버트 레이 애커 (공화당) 18.6%
제5선거구조 헨드릭스민주당1936년재선조 헨드릭스 (민주당) 70.9%
에모리 아커먼 (공화당) 29.1%
광역 선거구없음 (신설 선거구)민주당 획득로버트 A. 그린 (민주당)


4. 1. 정당별 의석 변화

정당총 의석의석 변동의석 비율득표 비율유효 득표수
공화당209+4748.0%50.8%14,271,483
민주당222-4551.0%47.0%13,181,759
진보당2-10.4%0.7%186,982
농민-노동당10.2%0.5%151,684
미국 노동당10.2%0.3%91,283
무소속0-10.0%0.2%67,333
사회당00.0%0.1%37,390
공산당00.0%0.1%29,659
금주당00.0%0.1%25,413
타운센드00.0%<0.1%9,843
사회노동당00.0%<0.1%1,963
국민 재건00.0%<0.1%1,705
전쟁 승리00.0%<0.1%120
자유당00.0%<0.1%114
사회 재건00.0%<0.1%114
무소속-노동00.0%<0.1%75
기타00.0%0.1%17,444
합계435100.0%100.0%28,074,364


4. 2. 주요 특징

1942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1942년 11월 3일에 치러졌으며, 제2차 세계 대전의 영향으로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의 민주당이 상당한 의석을 잃었지만, 여전히 다수당을 유지했다.

정당의석득표율득표수
민주당222석47.0%13,181,759표
공화당209석50.8%14,271,483표
진보당2석0.7%186,982표
농민-노동당1석0.5%151,684표
미국 노동당1석0.3%91,283표
무소속0석0.2%67,333표
사회당0석0.1%37,390표
공산당0석0.1%29,659표
금주당0석0.1%25,413표
타운센드0석<0.1%9,843표
사회노동당0석<0.1%1,963표
기타0석0.1%17,444표
합계435석100.0%28,074,364표



공화당은 47석을 추가하여 209석을 확보했고, 민주당은 45석을 잃어 222석을 차지했다. 진보당은 1석을 잃고 2석을, 농민-노동당과 미국 노동당은 각각 1석을 유지했다.

5. 선거 결과 분석 및 영향

1942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치러졌다. 앨라배마주와 아칸소주에서는 민주당 후보들이 대거 무투표 당선 또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승리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앨라배마주에서는 9개 선거구 모두 민주당이 석권했다. 프랭크 W. 보킨, 조지 M. 그랜트, 헨리 B. 스티걸, 샘 홉스, 조 스타네스, 피트 자만, 카터 마나스코, 존 스파크먼 등 현역 의원들은 모두 무투표로 재선되었다. 9번 선거구에서는 루터 패트릭 의원이 재선에 실패했으나, 존 P. 뉴섬 후보가 95.6%의 득표율로 당선되며 민주당이 의석을 지켰다.

아칸소주 역시 7개 선거구 모두 민주당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 에제키엘 C. 개싱스, 윌버 밀스, 윌리엄 파지오 크레이번스, 윌리엄 F. 노렐, 오렌 해리스 의원이 재선되었고, 상원 선거 출마로 사임한 클라이드 T. 엘리스 의원과 데이비드 D. 테리 의원의 자리에는 각각 J. 윌리엄 풀브라이트와 브룩스 헤이스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당시 미국 남부 지역에서 민주당의 지지세가 매우 강력했음을 보여준다.

5. 1. 미국 정치에 미친 영향

1942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민주당이 다수당 지위를 유지했지만, 공화당이 의석을 늘리면서 민주당의 영향력이 약화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특히 앨라배마주와 아칸소주의 선거 결과는 당시 민주당의 텃밭이었음을 보여준다.

앨라배마주에서는 9개 선거구 모두 민주당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거나 압도적인 득표율로 승리했다. 프랭크 W. 보킨, 조지 M. 그랜트, 헨리 B. 스티걸, 샘 홉스, 조 스타네스, 피트 자만, 카터 마나스코, 존 스파크먼 의원은 재선에 성공했다. 9번 선거구에서는 루터 패트릭 의원이 재선에 실패했지만, 존 P. 뉴섬 후보가 민주당 소속으로 당선되어 민주당이 의석을 유지했다.

아칸소주에서는 7개 선거구 모두 민주당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 에제키엘 C. 개싱스, 윌버 밀스, 윌리엄 파지오 크레이번스, 윌리엄 F. 노렐, 오렌 해리스 의원은 재선에 성공했다. 3번 선거구에서는 클라이드 T. 엘리스 의원이, 5번 선거구에서는 데이비드 D. 테리 의원이 미국 상원의원 선거 출마를 위해 은퇴했지만, 각각 J. 윌리엄 풀브라이트와 브룩스 헤이스 후보가 민주당 소속으로 당선되어 민주당이 의석을 유지했다.

이러한 결과는 당시 미국 남부 지역에서 민주당의 강력한 지지 기반을 보여주는 동시에, 전국적인 차원에서는 민주당의 영향력이 점차 감소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5. 2. 한국에 대한 영향 (한국의 관점)

1942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제2차 세계 대전이라는 국제적 위기 상황 속에서 치러졌다. 당시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의 민주당은 전쟁 수행과 뉴딜 정책 유지를 위해 의회 다수당 지위를 유지하고자 했다.

이 선거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앨라배마주와 아칸소주에서 민주당 후보들이 대부분 무투표 당선되었다는 것이다. 앨라배마주에서는 9개 선거구 중 8개 선거구에서, 아칸소주에서는 7개 선거구 모두 민주당 후보가 단독 출마하여 무투표 당선되었다. 앨라배마주의 나머지 1개 선거구에서는 민주당 후보가 95.6%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승리했다.

특히 아칸소 3선거구에서는 J. 윌리엄 풀브라이트가 무투표 당선되었는데, 그는 훗날 풀브라이트 장학금으로 널리 알려진 국제 교육 교류 프로그램을 창설한 인물이다. 아칸소 5선거구의 브룩스 헤이스도 무투표 당선되었다.

6. 주요 선거구별 결과

민주당 획득.로버트 A. 그린 (민주당) 무투표 당선



선거구하원 의원정당처음 당선결과후보
1구역휴 피터슨민주당1934현직 재선.휴 피터슨 (민주당) 98.2%, H. W. Sheppard (무소속) 1.8%
2구역에드워드 E. 콕스민주당1924현직 재선.에드워드 E. 콕스 (민주당) 100.0%
3구역스티븐 페이스민주당1936현직 재선.스티븐 페이스 (민주당) 무투표
4구역앨버트 시드니 캠프민주당1939현직 재선.앨버트 시드니 캠프 (민주당) 100.0%
5구역로버트 램스펙민주당1929현직 재선.로버트 램스펙 (민주당) 96.0%, 헨리 A. 알렉산더 (공화당) 4.0%
6구역칼 빈슨민주당1914현직 재선.칼 빈슨 (민주당) 무투표
7구역말콤 C. 타버민주당1926현직 재선.말콤 C. 타버 (민주당) 무투표
8구역존 S. 깁슨민주당1940현직 재선.존 S. 깁슨 (민주당) 무투표
9구역B. 프랭크 윌첼민주당1934현직 재선.B. 프랭크 윌첼 (민주당) 71.0%, 로스코 피켓 (무소속) 29.0%
10구역폴 브라운민주당1933현직 재선.폴 브라운 (민주당) 무투표



선거구의원정당첫 당선결과후보
1구역아서 W. 미첼민주당1934현직 은퇴.
민주당 유지.
윌리엄 L. 도슨 (민주당) 52.8%, 윌리엄 E. 킹 (공화당) 47.2%
2구역레이먼드 S. 맥키오민주당1934현직은 미국 상원 의원 선거 출마를 위해 은퇴.
민주당 유지.
윌리엄 A. 로완 (민주당) 50.8%, 토마스 J. 다운스 (공화당) 49.2%
3구역에드워드 A. 켈리민주당1930현직 재선 실패.
공화당 획득.
프레드 E. 버스비 (공화당) 51.3%, 에드워드 A. 켈리 (민주당) 48.7%
4구역해리 P. 빔민주당1930현직은 시카고 지방 법원 판사가 되기 위해 은퇴.
민주당 유지.
마틴 고르스키 (민주당) 78.7%, 아서 J. 루트쇼 (공화당) 21.3%
5구역아돌프 J. 사바스민주당1906현직 재선.아돌프 J. 사바스 (민주당) 72.2%, 클렘 그라버 (공화당) 27.8%
6구역A. F. 마체제브스키민주당1938현직 은퇴.
민주당 유지.
토마스 J. 오브라이언 (민주당) 57.4%, 레이먼드 E. 트라펠레 (공화당) 42.6%
7구역레너드 W. 슈에츠민주당1930현직 재선.레너드 W. 슈에츠 (민주당) 50.3%, 제임스 C. 모어랜드 (공화당) 49.7%
8구역레오 코시알코프스키민주당1932현직은 재지명 실패.
민주당 유지.
토마스 S. 고든 (민주당) 78.8%, 레나 E. 피키엘 (공화당) 21.2%
9구역찰스 S. 듀이공화당1940현직 재선.찰스 S. 듀이 (공화당) 51.3%, 어윈 N. 워커 (민주당) 48.7%
10구역조지 A. 패독공화당1940현직은 재지명 실패.
공화당 유지.
랄프 E. 처치 (공화당) 63.0%, 잭 베어스토 (민주당) 37.0%
11구역챈시 W. 리드공화당1934현직 재선.챈시 W. 리드 (공화당) 71.0%, 조셉 S. 페리 (민주당) 29.0%
12구역노아 M. 메이슨공화당1936현직 재선.노아 M. 메이슨 (공화당) 71.4%, 토니 R. 베레티니 (민주당) 28.6%
13구역레오 E. 앨런공화당1932현직 재선.레오 E. 앨런 (공화당) 79.4%, 마이클 M. 키니 (민주당) 20.6%
14구역안톤 J. 존슨공화당1938현직 재선.안톤 J. 존슨 (공화당) 59.3%, 로버트 M. 하퍼 (민주당) 40.7%
15구역로버트 B. 치퍼필드공화당1938현직 재선.로버트 B. 치퍼필드 (공화당) 62.1%, 몽고메리 B. 캐럿 (민주당) 37.9%
16구역에버렛 디르크센공화당1932현직 재선.에버렛 디르크센 (공화당) 68.8%, 제임스 D. 캐리건 (민주당) 31.2%
17구역레슬리 C. 아렌즈공화당1934현직 재선.레슬리 C. 아렌즈 (공화당) 72.4%, 프랭크 길레스피 (민주당) 27.6%
18구역제시 서머공화당1938현직 재선.제시 서머 (공화당) 62.4%, 프레드 E. 버처 (민주당) 37.6%
19구역윌리엄 H. 위트공화당1938현직 재선.윌리엄 H. 위트 (공화당) 57.3%, 알프레드 D. 휴스턴 (민주당) 42.7%
20구역제임스 M. 반스민주당1938현직 재선 실패.
공화당 획득.
시드 심슨 (공화당) 51.0%, 제임스 M. 반스 (민주당) 49.0%
21구역조지 에반 하웰공화당1940현직 재선.조지 에반 하웰 (공화당) 58.1%, 윌리엄 P. 로버츠 (민주당) 41.9%
22구역에드윈 M. 쉐퍼민주당1932현직 은퇴.
공화당 획득.
캘빈 D. 존슨 (공화당) 55.7%, 해리 C. 오덤 (민주당) 44.3%
23구역로렌스 F. 아놀드민주당1936현직 재선 실패.
공화당 획득.
찰스 W. 버셀 (공화당) 52.7%, 로렌스 F. 아놀드 (민주당) 47.3%
24구역제임스 V. 헤이딩어공화당1940현직 재선.제임스 V. 헤이딩어 (공화당) 58.4%, 리로이 바함 (민주당) 41.6%
25구역C. W. 비숍공화당1940현직 재선.C. W. 비숍 (공화당) 55.1%, 켄트 E. 켈러 (민주당) 44.9%
광역구스티븐 A. 데이공화당1940현직 재선.스티븐 A. 데이 (공화당) 51.3%, 벤자민 S. 아다모프스키 (민주당) 48.3%, 엘리자베스 스티븐스 카 (금주당) 0.4%
윌리엄 스트래튼공화당1940현직은 일리노이 주 재무관에 출마하기 위해 은퇴.
공화당 손실.



선거구하원 의원정당첫 당선결과후보
1구역윌리엄 T. 슐테민주당1932현직이 재지명에 실패.
민주당 유지.
레이 매든 (민주당) 53.6%, 새뮤얼 W. 컬리슨 (공화당) 46.4%
2구역찰스 A. 할렉공화당1935현직 재선.찰스 A. 할렉 (공화당) 61.2%, 에멧 퍼거슨 (민주당) 38.8%
3구역로버트 A. 그랜트공화당1938현직 재선.로버트 A. 그랜트 (공화당) 55.2%, 루이스 J. 머피 (민주당) 44.8%
4구역조지 W. 길리공화당1938현직 재선.조지 W. 길리 (공화당) 61.0%, 새뮤얼 C. 클랜드 (민주당) 39.0%
5구역포레스트 하네스공화당1938현직 재선.포레스트 하네스 (공화당) 55.7%, 에드워드 C. 헤이스 (민주당) 44.3%
6구역노블 J. 존슨공화당1938현직 재선.노블 J. 존슨 (공화당) 58.1%, 플로이드 I. 맥머레이 (민주당) 41.9%
7구역제럴드 W. 랜디스공화당1938현직 재선.제럴드 W. 랜디스 (공화당) 56.9%, O. A. 놀랜드 (민주당) 43.1%
8구역존 W. 보엔 주니어민주당1930현직 낙선.
공화당 획득.
찰스 M. 라 폴레트 (공화당) 53.7%, 존 W. 보엔 주니어 (민주당) 46.3%
9구역얼 윌슨공화당1940현직 재선.얼 윌슨 (공화당) 55.9%, 로이 허클베리 (민주당) 44.1%
10구역레이먼드 S. 스프링거공화당1938현직 재선.레이먼드 S. 스프링거 (공화당) 57.4%, 윌리엄 래러비 (민주당) 42.6%
윌리엄 래러비민주당1930현직 낙선.
민주당 상실.
11구역루이스 루드로민주당1928현직 재선.루이스 루드로 (민주당) 50.3%, 하워드 M. 마이어 (공화당) 49.7%



선거구의원정당첫 당선결과후보
1구역토마스 E. 마틴공화당1938현직 재선.토마스 E. 마틴 (공화당) 61.4%, 번 W. 넬 (민주당) 36.7%, 존 A. 휴글린 (국민 회복) 1.9%
2구역윌리엄 S. 제이콥슨민주당1936현직 재선 실패.
민주당 패배.
헨리 O. 탈레 (공화당) 57.4%, 윌리엄 S. 제이콥슨 (민주당) 42.6%
헨리 O. 탈레공화당1938현직 재선.
3구역존 W. 귄공화당1934현직 재선.존 W. 귄 (공화당) 60.7%, 윌리엄 D. 카니 (민주당) 39.3%
4구역칼 M. 르콩트공화당1938현직 재선.칼 M. 르콩트 (공화당) 64.5%, 토마스 L. 커런 (민주당) 35.5%
5구역폴 커닝햄공화당1940현직 재선.폴 커닝햄 (공화당) 63.2%, E. 프랭크 폭스 (민주당) 36.8%
6구역프레드 C. 길크리스트공화당1930현직 재선.프레드 C. 길크리스트 (공화당) 60.3%, 에드워드 브린 (민주당) 39.7%
7구역벤 F. 젠센공화당1938현직 재선.벤 F. 젠센 (공화당) 64.2%, 제스 알톤 (민주당) 35.8%
8구역빈센트 F. 해링턴민주당1936현직은 육군 항공대에 복무하기 위해 사임.
공화당 승리.
찰스 B. 호벤 (공화당) 64.6%, 월터 T. 마호니 (민주당) 35.4%



선거구하원 의원정당첫 당선결과후보
1구역윌리엄 P. 램버트슨공화당1928현직 재선.윌리엄 P. 램버트슨 (공화당) 59.2%, 존 E. 바렛 (민주당) 40.8%
2구역U. S. 가이어공화당1926현직 재선.U. S. 가이어 (공화당) 59.1%, 허버트 L. 드레이크 (민주당) 40.9%
3구역토마스 D. 윈터공화당1938현직 재선.토마스 D. 윈터 (공화당) 59.8%, 윌리엄 E. 머피 (민주당) 40.2%
4구역에드워드 H. 리스공화당1936현직 재선.에드워드 H. 리스 (공화당) 55.7%, 존 M. 휴스턴 (민주당) 44.3%
존 M. 휴스턴민주당1934현직 선거 패배.
민주당 패배.
5구역클리포드 R. 호프공화당1926현직 재선.클리포드 R. 호프 (공화당) 66.6%, S. S. 알렉산더 (민주당) 33.4%
6구역프랭크 칼슨공화당1934현직 재선.프랭크 칼슨 (공화당) 64.2%, 루드 W. 스트나드 (민주당) 35.8%



선거구현직이번 선거
하원 의원정당처음 당선결과후보
1구역F. 에드워드 에버트민주당1940현직 재선.F. 에드워드 에버트 (민주당) 무투표 당선
2구역헤일 보그스민주당1940현직 재지명 실패.
민주당 유지.
폴 H. 멀로니 (민주당) 무투표 당선
3구역제임스 R. 도메니고민주당1940현직 재선.제임스 R. 도메니고 (민주당) 무투표 당선
4구역오버튼 브룩스민주당1936현직 재선.오버튼 브룩스 (민주당) 무투표 당선
5구역뉴트 V. 밀스민주당1936현직 재지명 실패.
민주당 유지.
찰스 E. 맥켄지 (민주당) 무투표 당선
6구역제러드 Y. 샌더스 주니어민주당1940현직 재지명 실패.
민주당 유지.
제임스 H. 모리슨 (민주당) 무투표 당선
7구역밴스 플로셰민주당1940현직 은퇴.
민주당 유지.
헨리 D. 라카드 주니어 (민주당) 무투표 당선
8구역A. 레너드 앨런민주당1936현직 재선.A. 레너드 앨런 (민주당) 무투표 당선



선거구현직자이번 선거
하원 의원정당첫 당선결과후보
1구역제임스 C. 올리버공화당1936현직자 재지명 실패.
공화당 유지.
로버트 헤일 (공화당) 57.0%, 루이스 J. 브란 (민주당) 43.0%
2구역마거릿 체이스 스미스공화당1940현직자 재선.마거릿 체이스 스미스 (공화당) 67.6%, 브래드포드 D. 레도넷 (민주당) 32.4%
3구역프랭크 펠로우즈공화당1940현직자 재선.프랭크 펠로우즈 (공화당) 무투표



{| class=wikitable"

|-

! rowspan=2 | 선거구

! colspan=3 | 현직

! colspan=2 | 이번 선거

|-

! 하원 의원

! 정당

! 처음 당선

! 결과

! 후보

|-

| 1구역

| 데이비드 젠킨스 워드

| 민주당

| 1939

| 현직 재선.

| 데이비드 젠킨스 워드 (민주당) 55.9%, 윌리엄 H. 로이드 (공화당) 44.1%

|-

| 2구역

| 윌리엄 P. 콜 주니어

| 민주당

| 1930

| 현직, 미국 관세 법원 임명으로 사임.
민주당 유지.

| 해리 스트리트 볼드윈 (민주당) 62.2%, 조지 R. 노리스 (공화당) 37.8%

|-

| 3구역

| 토마스 다레산드로 주니어

| 민주당

| 1938

| 현직 재선.

| 토마스 다레산드로 주니어 (민주당) 73.2%, 에드워드 S. 파네티 (공화당) 26.8%

|-

| 4구역

| 존 앰브로스 마이어

| 민주당

| 1940

| 현직 재선 실패.
'''공화당 획득.'''

| 다니엘 엘리슨 (공화당) 50.9%, 조셉 M. 와이어트 (민주당) 49.1%

|-

| 5구역

| 랜스데일 사스서

| 민주당

| 1939

| 현직 재선.

| 랜스데일 사스서 (민주당) 66.7%, 존 N. 토르베스타드 (공화당) 33.3%

|-

| 6구역

| 캐서린 바이런

| 민주당

| 1941

| 현직 은퇴.
'''공화당 획득.'''

| J. 글렌 빌 (

7. 같이 보기

참조

[1] 뉴스 Only 65% of Vote is Likely Today https://select.nytim[...] 1942-11-03
[2] 뉴스 The Great Gerrymander of 2012 https://www.nytimes.[...] 2013-05-29
[3] 웹사이트 In 1996, House Democrats also won the popular vote but remained in the minority (kind of) https://www.washingt[...] 2012-12-03
[4] 간행물 The 1942 Congressional Elections https://www.cambridg[...] 1944
[5] 웹사이트 PA District 33 - Special Election Race - May 19, 1942 https://www.ourcampa[...]
[6] 웹사이트 CA District 17 - Special Election Race - Aug 25, 1942 https://www.ourcampa[...]
[7] 웹사이트 IA District 9 - Special Election Race - Nov 03, 1942 https://www.ourcampa[...] 2022-02-07
[8] 서적 The Historical Atlas of United States Congressional Districts, 1789-1983 The Free Press
[9] 웹사이트 AK Delegate Race - Nov 03, 1942 https://www.ourcamp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